[도서] 한국민주화운동사. 3: 서울의 봄부터 문민정부 수립까지
저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
출판사 : 돌베개
정가 : 35,000 원
판매가 : 31,500 원
출간일 : 2010/11/25
ISBN : 9788971994153

책 소개
한국 민주화운동의 올바른 정립 그리고 기억



현대사 전공자들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한국 민주화운동사 총정리「한국민주화운동사」 시리즈 제3권 『서울의 봄부터 문민정부 수립까지』. 1980년 5·18 광주민중항쟁에서 최초의 민주주의적 정부라고 할 수 있는 문민정부 수립까지를 다루었다. ‘민주화’에 대한 간절함이 가장 뜨겁고 지속적이었던 시기였던 1980년에서 1992년 사이의 기간을 ‘5·18 광주민중항쟁기’, ‘전두환 정권기’, ‘6월민주항쟁기’, ‘노태우 정권기’ 등 4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해가는 과정과 이에 대한 민주화세력의 대응을 현장 분위기를 최대한 살려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였고, 전두환 정권과 보수세력 통합과정 등 당시 정부의 체제정비, 지배정책과 지배구조 등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그리고 민주화 이후에 전개된 민주화운동과 새로운 시민운동의 등장까지 수록하였다.





이 책은 전체 목차와 중요도에 따른 분량, 해석의 범위 등을 논의해 정하는 등 수차례의 토론과 검토를 통해 작업한 것이다. 특히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등 과거사 위원회들의 조사자료 등, 최근 발굴되거나 발표된 자료들까지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주요 사건과 맥락을 폭넓게 기록하면서 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을 실어 일반인들도 읽기 쉽다. 특히 3권에서는 종교, 언론 출판계, 교육계 학계, 문화예술, 인권, 노동, 농민, 도시빈민, 여성 등 1980년대에 일어난 각각의 부문운동을 10개의 장으로 세분화하여 추가적으로 서술하여 민주화운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목차
발간사

총론: 1980년대 민주화운동: 배경, 전개과정, 성과와 한계



제1부 신군부의 등장과 5·18민중항쟁



제1장 신군부의 등장과 `서울의 봄`

1 10·26정변 이후 유신세력의 대응과 12·12군사반란

한·미 정부의 대처와 `통대선거` 실시 - 12·12군사반란과 신군부의 군권장악

2 10·26정변 이후 민주화세력의 대응과 `통대선출 저지 국민대회`

정치세력의 동향과 개헌논의 전개 - 재야세력과 `통대선출 저지 국민대회`

3 학원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신군부의 집권 추진

학생회 부활과 학원민주화운동 전개 - 야당세력 통합 실패와 신군부의 정권장악 추진

4 민중투쟁의 확산과 학생들의 계엄철폐투쟁

사회경제 현실과 노동자 생존권투쟁 확산 - 학생들의 계엄철폐투쟁과 `서울역 회군`



제2장 5·18민중항쟁

1 5·18민중항쟁의 배경

박정희의 지역주의와 김대중 억압 - 10·26정변 이후 광주지역의 민주화운동

2 5·18민중항쟁의 발발과 전개

공수부대의 살인적 체포작전과 `피의 일요일` - 광주시민들의 분노와 지도자 없는 항거 -

운전기사들의 봉기와 민중항쟁으로의 확산 - 공수부대의 발포와 시민들의 무장투쟁 ㅣ

시민공동체의 자치활동과 수습대책위원회 - 계엄군의 `폭동진압작전`과 항쟁의 종결 -

신군부의 범죄혐의 조작과 보복적 극한 처벌

3 5·18민중항쟁의 의의와 명예회복

5·18민중항쟁의 성격과 의의 - 5·18민중항쟁의 명예회복



제2부 전두환 정권과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5공화국의 성립과 전두환 정권의 지배구조

1 5·17쿠데타 이후 권력기반 구축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