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인문학과 과학
저자 : 김영식
출판사 : 돌베개
정가 : 12,000 원
판매가 : 10,800 원
출간일 : 2009/12/16
ISBN : 9788971993675

책 소개
『인문학과 과학』은 동서양 학문 전통 속에서 자연 세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그 위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전문화되었는지 등을 다룬 책이다. 또한 과학기술이 지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현대 사회에서 인문학이 처한 상황에 대해 반성하고, 향후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1장 - 인문학과 과학: ‘문과’와 ‘이과’-분리와 연결

1. 머리말

2. 문과와 이과: 강제된 구분

3. 문과-이과 구분의 실체

4. 문과-이과 구분의 폐단: 제약, 왜곡, 편견, 미신

5. 역사적 배경

6. 모색과 전망

7. 맺음말



2장 - 서양 학문 전통 속의 과학과 인문학

1. 고대와 중세 서양 학문 전통 속의 과학

2. 과학혁명과 서양의 학문 및 과학

3. 전문 과학 분야들의 출현과 과학의 분리

4. 과학, 기술, 인문학: 분리와 연결

5. 맺음말



3장 - 동아시아 유가 전통과 과학

1. 머리말

2. 과학기술 지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한 유가 전통의 요소들

3. 과학기술에 대한 편견을 빚은 유가 전통의 요소들

4. 과학 지식에 대한 유학자들의 태도: 주희의 경우

5. 유학자들과 과학 지식

6. 맺는 말



4장 - ‘과학기술 시대’의 인문학

1. 사회의 변화와 인문학

2. 대학의 문제

3. 인문학: 주제, 대상, 방법, 정신, 교양

4. 과학기술 시대 인문학의 과제

5. 과학기술과 인문학: 연결의 모색

6. 맺음말: 전망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석학인문강좌’ 시리즈 일곱 번째 책. ‘과학기술 시대’라고 부르는 현대 사회에서 인문학의 위치는 어떠한가, 또 그 역할은 무엇인가? 오늘날 과학기술과 인문학이 극도로 분리되어 있는 우리 사회에서 인문학과 과학의 만남이 가능할까? 이 책은 이 같은 물음들에 답하기 위해 동서양 학문 전통 속에서 자연 세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그 위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전문화되었는지 등을 살펴본다. 아울러 과학기술이 지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현대 사회에서 인문학이 처한 상황에 대해 반성하고, 향후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과학적 이성과 인문주의적 세계관을 아우르는 저자의 폭넓은 성찰이 담긴 이 책을 통해 과학과 인문학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조명함으로써 과학기술 시대 인문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