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저자 : 정병모
출판사 : 돌베개
정가 : 33,000 원
판매가 : 29,700 원
출간일 : 2012/03/26
ISBN : 9788971994771

책 소개
민화, 한국인의 원초적이고 근원적인 미감을 드러내다!

「테마한국문화사」제9권『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테마한국문화사>는 청소년에서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아름다운 우리 전통문화의 참모습을 감상하고, 그 속에 숨겨진 옛사람들의 생활 미학과 지혜를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된 시리즈이다. 9권은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 민화를 조명한 책이다. ‘민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위상을 밝히고, 민화의 주제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민화의 역사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민화를 종교와의 영향관계를 통해 검토하여, 조선 시대 통치이념인 유교가 어떻게 민화에 반영되었고, 불교와는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샤머니즘과 민화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였다.◈ 북소믈리에 한마디!저자는 이 책을 통해 민화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리하고 있다. 야나기 무네요시 이래로 민화를 무명성(無名性)의 그림으로 정의한 서구적 개념이 아닌, ‘서민화가가 서민을 위해 그린 그림’이라는 민화의 개념을 제시한다. 또한 한국적인 시각에 머문 민화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여 국제적인 시각에서 동아시아적 보편성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민화만의 특색을 만나볼 수 있다.

목차
[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Discovery of Korean Culture

Preface

저자의 말


제1부 민화란 무엇인가

1. 민화의 개념

민화인가, 궁중회화인가 - 과거의 속화, 현대의 민화 - 서구에서 시작된 민화 개념 -

일본에서 정립된 민화 개념 - 민화, 서민화가가 그린 그림

2. 궁화, 사인화, 그리고 민화

전통회화의 분류로 본 민화 - 궁화에서 민화로 - 사인화의 영향을 받은 민화

3. 채색화로서의 민화

색채의 힘 - 청색과 적색의 조화 - 부분채색의 효과 - 무지개의 꿈 - 채색의 실제 예

-SB- 민화와 풍속화는 어떻게 다른가


제2부 민화의 주제

1. 민화, 어떻게 나누나

민화의 분류 - 민화의 특징

2. 화조화

화조화란 - 화훼도 - 영모도 - 어해도 - 초충도 - 소과도

3. 인물화

이야기하는 인간 - 고사인물화 - 풍속화 - 종교화 - 초상화

4. 문자화

그림 같은 글씨, 글씨 같은 그림 - 길상문자도 - 유교문자도 - 비백서?

5. 산수화

마음의 풍경 - 소상팔경도 - 금강산도 - 무이구곡도

6. 문방화와 누각화

문방화, 책과 문방구를 그린 그림 - 민화의 누각화, 감모여재도

-SB- 동음이어법, 박쥐가 행복을 뜻하는 이유


제3부 민화의 역사

1. 민화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민화의 원초적 이미지 - 민화의 실질적 시작, 처용문배 - 처용문배의 이미지

2. 고려시대의 민화

불화, 무화, 벽화

3. 조선 전기의 민화

조선시대의 문배와 세화 - 조선 전기의 민화 표현 - 분청사기에 담긴 민화의 표정

4. 조선 후기의 민화

권력을 풍자한 민화 이미지 등장 - 세화에서 민화로 발전 - 민화의 성행

-SB- 현대에 되살아난 민화의 열기


제4부 민화와 종교

1. 민화에 투영된 유교이념

민화와 유교문화 - 길상문자도에서 유교문자도로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 민화, 효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