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저자 : 추이즈위안
출판사 : 돌베개
정가 : 12,000 원
판매가 : 10,800 원
출간일 : 2014/02/24
ISBN : 9788971995785

책 소개
자유사회주의, 공화주의 그리고 신국제주의와 중국 신좌파 추이즈위안의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현대 중국의 사상과 이론」시리즈 제2권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이 책은 중국의 신좌파를 대표하는 지식인이자 충칭 제도개혁의 이론가 추이즈위안이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를 사상적 입지로 삼고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중국이 겪고 있는 첨예한 문제들과 사유, 실천이 현장을 생생히 전달하며 중국의 경험과 진보적 이론들을 엮어 비서구사회에서 가능한 보편적 이론 생산의 한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의 전통과 그 의의를 과감하게 재구성한 이 책은 추이즈위안의 실린 글들을 통해 세 가지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자유사회주의, 공화주의, 신국제주의이다. 공산당 중심의 관료주의와 국가주의의 위험에 맞선 민주주의와 인권이 문제를 탐구하고 서구 중심 보편주의와 중국 민족주의를 넘어선 신국제주의 이념을 모색한다. 이러한 고민들은 신자유주위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충칭의 실천적 이론화 작업이며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학자 정책 관계자에게도 풍부한 영감과 사고를 제공할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자유사회주의, 공화주의 그리고 신국제주의


l 1부 l

서구 중심의 보편주의를 넘어서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자유사회주의와 중국의 미래


프루동과 중국의 토지소유제 ㅣ 존 스튜어트 밀과 ‘현대적 기업제도’의 계보학 ㅣ 제임스 미드와 중국의 주식합자제도 ㅣ 중국의 주식합자제도 ㅣ 브로델, ‘반시장적 자본주의’와 중국의 부동산 ㅣ 중국과 러시아,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와 과두적 자본주의 ㅣ 제임스 미드의 국유주 소유권 뒤집기와 중국정부의 국유주 지분 참여 ㅣ 실비오 게젤,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의 금융개혁가 ㅣ 제임스 조이스와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예술 ㅣ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와 포스트포드주의 대량생산 ㅣ 페이샤오퉁과 웅거의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혼합헌법’ 그리고 중국정치의 세 층위 분석


혼합헌법 이론: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마키아벨리까지 ㅣ 혼합헌법 이론의 현대적 개조 ㅣ 세 층위 분석법의 응용


‘아시아적 가치’ 대 ‘서구적 가치’라는 사유방식을 넘어서: 인권문제를 보는 시각


공/사 구분과 ‘개인의 권리’의 상대성 ㅣ 중국 사형제도와 인권문제 ㅣ 중국 언론·출판의 자유에 관한 정확한 실상 ㅣ 중국 노동조합 조직 과정의 지혜


제3세계에서 서구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초월


‘진보의 가능성’을 보는 두 가지 관점 ㅣ ‘인간의 자기긍정’과 진보 ㅣ 서구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문제점


시바이포 포스트모던: UN인권선언과 보편적 역사의 여명


l 2부 l

충칭은 중국의 미래가 될 수 있는가


l 헨리 조지, 제임스 미드, 안토니오 그람시: 충칭개혁의 세 가지 이론적 관점


‘충칭실험’ 배후의 의도는 무엇인가 ㅣ 지표거래, 주민등록제 개혁, 헨리 조지의 이론 ㅣ ‘국유부문과 민간부문의 공동 발전’, 제3재정, 제임스 미드의 자유사회주의 ㅣ 르네상스, 종교개혁,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


l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경제학적 함의에 대한 재인식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구호에 불과한가 ㅣ 국유자산 가치 증대와 민간 재부 확대의 동시 추구 ㅣ ‘자유사회주의’의 실험장 충칭


l ‘충칭의 경험’과 제도혁신


민생개선과 경제발전의 상호보완 ㅣ ‘1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