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S-T | Adolescent Behavior Assessment Scale for Teacher Report
청소년행동평가척도 교사용

교사 및 상담전문가가 일반청소년들이 일상생활 장면에서 경험하는 부적응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평가, 문제 청소년 사전판별

표준화이해경
목적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교사 및 상담 전문가가 평가하고 문제 청소년을 사전 판별
대상

중학생, 고등학생

실시형태개별검사
소요시간

20~30분

ABAS-T(청소년행동평가척도 교사용)란?

본 검사는 일반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교사(상담자)용 사전선별도구이다.
청소년문제는 날로 다양해지고,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하는 것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 상담 및 개입을 계획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해야 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기보고용인 ABAS-S(청소년용)에 이어 청소년을 지도하는 교사 및 상담가가 활용할 수 있도록 ABAS-T(교사용)를 개발하였다. 일반청소년을 위한 생활지도와 상담, 예방교육이 필요한 청소년을 선별하거나 청소년상담 전문기관이나 병원에서 실시되는 전문적인 임상진단에 앞서 실시할 수도 있다.

검사의 특징

* 정신병리를 갖고 있는 임상장면의 청소년들의 심리장애를 진단하는 도구가 아닌, 일반 청소년들의 부적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개발되어 일반 청소년들의 상담 및 생활지도 장면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청소년들을 학교 혹은 일상생활에서 장기간에 걸쳐 관찰하였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대단위 학급 및 학교 안에서 비교적 손쉽게 실시할 수 있어 청소년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청소년문제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관적이고 편파적일 수 있는 부모나 청소년 자신의 평가를 교사는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할 수 있으며, 청소년자기보고(ABAS-S), 부모(ABAS-P), 교사
(ABAS-T)의 3자 간의 다차원적인 평가를 통하여 좀 더 총체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 평가자인 교사(상담가)의 평가가 타당한지는 평가하는 ‘타당도척도’(Validity Scales)와 평가대상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행동문제를 평가하는 ‘문제척도’(Problem Scales)로 구성되어 있다.
- 9개의 문제척도: 학업주의문제, 인터넷 중독, 또래관계문제, 공격행동 등을 포함하고 있어,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를 폭넓게 평가할 수 있다.
- 2개의 타당도척도: 비일관성척도, 부정반응경향척도를 포함하고 있어 청소년에 대한 교사 평가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 12개의 중요문항: 위기 청소년들의 상담 및 개입을 위한 중요문항 12개를 포함한다.

하위검사 구성

척도

하위척도

단축명

문항수
타당도척도
비일관성(Inconsistency)
I
16
부정반응척도(Negative Responding Tendency)
N
12
문제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