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ST |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조음기관 구조 · 기능 선별검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의 문제 및 말 · 언어장애 유무를 선별하는 검사

 

저자신문자 · 김재옥 · 이수복 · 이소연
목적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상의 상태 평가 및 진단
대상

만 18 ~ 59세

실시형태개별검사
소요시간

30 ~ 40분

SMST(조음기관 구조 · 기능 선별검사)는?

 

본 검사는 만 18 ~ 59세 성인의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의 문제를 선별하고 구조 및 기능의 정상범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검사이다. 이를 통해 언어치료사들은 임상현장에서 언어 및 말과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조음기관의 문제를 평가 · 진단함으로써 문제의 진전을 예방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재평가를 통해 재활이나 치료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검사의 특징

· 검사문항의 타당도는 언어병리학박사 4명과 2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지닌 언어치료사 2명에게 검증받았으며 검사의 총점수 평가자간 신뢰도 계수는 .98로 아주 높은 편이다.

 

· 정상 성인의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의 정상범위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언어치료 임상에서 다양한 장애 분야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 영역 / 발성, 음성 및 조음선별 / 조음교대운동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 각 조음기관 분야별로 구조와 기능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음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문항수를 배치하였다.

 

·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검사에 필요한 초시계, 설압자, 펜라이트 등을 제공하여 검사의 편리성을 높였다.

하위검사 구성

하위검사

측정내용

문항수

조음기관의
구조와 기능

얼굴, 입술, 혀, 턱, 치아, 경구개, 연구개, 인두, 호흡 등의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 평가

30

발성, 음성 및
조음선별
/아/ 모음 최대발성시간(MPT), 이름과 주소대기의 자발